RJ번째 세계 (비교)
알림
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.
r19 vs r20 | ||
---|---|---|
... | ... | |
24 | 24 | [목차] |
25 | 25 | == 개요 == |
26 | 26 | [[A Dance of Fire and Ice]]의 공식 레벨 중 [[세계/엑스트라 섬|엑스트라 섬]]의 여섯번째 레벨이자 '''Rhythm Journey'''와의 콜라보 레벨인 '''RJ번째 세계'''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. |
27 | == 특징 == |
|
28 | 28 | == 튜토리얼 == |
29 | 29 | === RJ-1 리듬의 흐름 === |
30 | 30 | 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30346A><table bordercolor=#AA3F84><colcolor=#F4CAA0>RJ-1[br]'''{{{+2 리듬의 흐름}}}'''[br]{{{-1 Trickle Down}}} || |
31 | ||<-6><nopad> [youtube( |
|
31 | ||<-6><nopad> [youtube(https://youtu.be/N1QGz1Xj-PA)] || |
|
32 | 32 | ||<-6><nopad> {{{#!folding [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] |
33 | 33 | [[파일:tutorj-1.png]]}}} || |
34 | 34 | 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95 || |
35 | 35 | || '''타일 수''' ||<-3>14 || |
36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패턴 || |
|
36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 느린 16분박 패턴 || |
|
37 | 37 | === RJ-2 두 개의 키로 즐기는 리듬게임 === |
38 | 38 | 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30346A><table bordercolor=#AA3F84><colcolor=#F4CAA0>RJ-2[br]'''{{{+2 두 개의 키로 즐기는 리듬게임}}}'''[br]{{{-1 Two-Button Rhythm Game}}} || |
39 | ||<-6><nopad> [youtube(0)] || |
|
39 | ||<-6><nopad> [youtube(https://youtu.be/nWhpamz0FqY)] || |
|
40 | 40 | ||<-6><nopad> {{{#!folding [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] |
41 | 41 | [[파일:tutorj-2.png]]}}} || |
42 | 42 | 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130 || |
43 | 43 | || '''타일 수''' ||<-3>32 || |
44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 |
|
44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동시치기 타일 || |
|
45 | 45 | === RJ-3 몰아치는 브레이크 === |
46 | 46 | 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30346A><table bordercolor=#AA3F84><colcolor=#F4CAA0>RJ-3[br]'''{{{+2 몰아치는 브레이크}}}'''[br]{{{-1 Stomp Breaks}}} || |
47 | ||<-6><nopad> [youtube( |
|
47 | ||<-6><nopad> [youtube(https://youtu.be/YpC_RM2TD4U)] || |
|
48 | 48 | ||<-6><nopad> {{{#!folding [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] |
49 | 49 | [[파일:tutorj-3.png]]}}} || |
50 | 50 | 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170 || |
51 | 51 | || '''타일 수''' ||<-3>31 || |
52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 |
|
52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동시치기 타일의 응용 || |
|
53 | 53 | === RJ-4 고리 속에서 === |
54 | 54 | 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30346A><table bordercolor=#AA3F84><colcolor=#F4CAA0>RJ-4[br]'''{{{+2 고리 속에서}}}'''[br]{{{-1 In The Loop}}} || |
55 | ||<-6><nopad> [youtube( |
|
55 | ||<-6><nopad> [youtube(https://youtu.be/sFy-rOWIvFk)] || |
|
56 | 56 | ||<-6><nopad> {{{#!folding [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] |
57 | 57 | [[파일:tutorj-4.png]]}}} || |
58 | 58 | 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160 || |
59 | 59 | || '''타일 수''' ||<-3>53 || |
60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패턴 || |
|
61 | ||
63 | ||
60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반복되는 동시치기 패턴 || |
|
63 | 61 | === RJ-5 고리 속에서 (심화편) === |
64 | 62 | 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30346A><table bordercolor=#AA3F84><colcolor=#F4CAA0>RJ-5[br]'''{{{+2 고리 속에서 (심화편)}}}'''[br]{{{-1 The Loop's Brother}}} || |
65 | ||<-6><nopad> [youtube( |
|
63 | ||<-6><nopad> [youtube(https://youtu.be/VEGaf_OyzVA)] || |
|
66 | 64 | ||<-6><nopad> {{{#!folding [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] |
67 | 65 | [[파일:tutorj-5.png]]}}} || |
68 | 66 | 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170 || |
69 | 67 | || '''타일 수''' ||<-3>46 || |
70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패턴 || |
|
71 | ||
73 | ||
68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반복되는 동시치기 패턴의 심화 || |
|
73 | 69 | === RJ-6 격자 === |
74 | 70 | 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30346A><table bordercolor=#AA3F84><colcolor=#F4CAA0>RJ-6[br]'''{{{+2 격자}}}'''[br]{{{-1 Lattice}}} || |
75 | ||<-6><nopad> [youtube( |
|
71 | ||<-6><nopad> [youtube(https://youtu.be/7mria-daVSU)] || |
|
76 | 72 | ||<-6><nopad> {{{#!folding [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] |
77 | 73 | [[파일:tutorj-6.png]]}}} || |
78 | 74 | 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190 || |
79 | 75 | || '''타일 수''' ||<-3>38 || |
80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패턴 |
|
76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격자 모양 동시치기 패턴|| |
|
81 | 77 | === RJ-7 낚싯바늘 === |
82 | 78 | 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30346A><table bordercolor=#AA3F84><colcolor=#F4CAA0>RJ-7[br]'''{{{+2 낚시바늘}}}'''[br]{{{-1 Fish Hooks}}} || |
83 | ||<-6><nopad> [youtube( |
|
79 | ||<-6><nopad> [youtube(https://youtu.be/zr5hTvjhi3E)] || |
|
84 | 80 | ||<-6><nopad> {{{#!folding [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] |
85 | 81 | [[파일:tutorj-7.png]]}}} || |
86 | 82 | 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190 || |
87 | 83 | || '''타일 수''' ||<-3>40 || |
88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패턴 || |
|
84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사각형, 엇박, 유턴 패턴 || |
|
89 | 85 | == RJ-X Fear Grows == |
90 | 86 |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 |
91 | 87 | ||<-12><tablealign=center><tablewidth=650><bgcolor=#30346A><table bordercolor=#AA3F84><color=#F4CAA0>{{{#!wiki style="margin: -5px -10px; padding: 6px 10px; background-image: radial-gradient(circle, #F4CAA0, #AA3F84, #30346A, #30346A, #30346A, #30346A)" |
92 | 88 | {{{#!wiki style="display: inline; text-shadow: -1px -1px #181C39, -1px 0 #181C39, -1px 1px #181C39, 0 1px #181C39, 1px 1px #181C39, 1px 0 #181C39, 1px -1px #181C39, 0 -1px #181C39;color:#AEBEFF" |
93 | 89 | {{{+1 RJ-X}}}[br]'''{{{+4 Fear Grows}}}'''[br]{{{+1 Linky}}}}}}}}} || |
94 | ||<-12><bgcolor=#30346A><nopad> [youtube( |
|
90 | ||<-12><bgcolor=#30346A><nopad> [youtube(https://youtu.be/u-qeJlDwVBI,width=650,height=366)]|| |
|
95 | 91 | ||<-12><bgcolor=#30346A><nopad>'''{{{+1 {{{#F4CAA0 | 레벨 정보}}}}}}''' || |
96 | 92 | ||<-3><width=20%> {{{-1 곡 길이}}}[br]'''{{{+3 1:31}}}''' ||<-3><width=20%> {{{-1 BPM}}}[br]'''{{{+3 104}}}'''[* 최대 타일 BPM 208, 체감 BPM 416] ||<-3><width=20%> {{{-1 타일 수}}}[br]'''{{{+3 296}}}''' ||<-3><width=20%> {{{-1 배속 목표}}}[br]'''{{{+3 x1.2}}}''' || |
97 | 93 | ||<-12><bgcolor=#30346A><nopad>'''{{{+1 {{{#F4CAA0 | 주요 패턴}}}}}}''' || |
... | ... | |
99 | 95 | ||<-12><bgcolor=#30346A><nopad>'''{{{+1 {{{#F4CAA0 | 난이도}}}}}}''' || |
100 | 96 | ||<-4> {{{-1 [[https://docs.google.com/spreadsheets/d/1Zdcrfwxbuew1DE8WYm2geTHYEQii288P07dokyZ2NlU/edit?gid=1992961051#gid=1992961051|난이도 시트]]}}}[br]'''{{{+4 -}}}''' ||<-4> {{{-1 ADOFAI.gg}}}[br]'''{{{+4 -}}}''' ||<-4> {{{-1 TUF}}}[br][[파일:TUF Lv P7.png|width=40]] || |
101 | 97 | == 여담 == |
102 | * 이 세계에 등장하는 동시치기 타일은 상술했듯이 이 세계에서만 등장하는 일회성 기믹인데, 유저들이 커스텀 레벨에서 장식을 이용해 유사하게 구현하는 경우가 많다[* 더군다나 타일 오브젝트 장식 기능이 생겨 구현이 더욱 쉬워졌다.]. |
|
98 | * 이 세계에 등장하는 동시치기 타일은 상술했듯이 이 세계에서만 등장하는 일회성 기믹인데, 유저들이 커스텀 레벨에서 장식을 이용해 유사하게 구현하는 경우가 많다[* 더군다나 타일 오브젝트 장식 기능이 생겨 구현이 더욱 쉬워졌다.]. |
|
103 | 99 | [[분류:공식 레벨]] |